Shin Gyomyung, Shin Jongmin Group Exhibition
Virtuality slash Physicality
기술은 인간의 편의를 위해 출발했지만, 그 이면에는 인간의 정신세계에 깊은 영향을 미치며, 역설적으로 현재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욕망을 자극한다. 기술이 인간의 역할을 대체하고 가상 세계를 확장하는 오늘날, 신교명과 신종민은 각자의 방식으로 어떤 선택과 개입을 통해 자신만의 세계를 서사화하고 있는지를 전시 ‘Virtuality slash Physicality’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무에서 유를 창조한다’라는 보편적 정의를 넘어, 두 작가는 매체의 선택부터 창작의 전 과정까지 능동적으로 개입하며, 그로부터 파생되는 이야기들을 통해 고전적 작가의 역할과 조각의 역사 위를 유영한다. 이들의 작업은 호기심과 낯섦이 교차하는 인상을 불러일으키고, 변모하는 동시대 환경을 체감하게 하며, 나아가 존재하지 않는 것들을 상상하게 함으로써 감각의 지평을 다층적으로 확장한다.
신교명은 기술을 적극적으로 시각 예술로 끌어들이며, 기계를 단순한 도구가 아닌 독립된 존재로 재정의한다. 그가 개발한 AI 로봇 ‘이일오’는 자율적으로 사고하고 회화를 그려내며, 인간과 수평적 관계를 맺는 주체로 작동한다. 이는 인간과 기계의 경계를 흐리게 만들며, 기존의 인식과 가치 체계에 대한 성찰을 유도한다. 더 나아가 ‘머시나 사피엔스(Machina Sapiens)’라 명명된 이 기계종은 인류 문명의 기원을 상징하는 암각화를 모방하고, 반복적 수행을 통해 과거의 태양을 그려내며 그들만의 흔적을 새긴다. 인간이 과거를 통해 정체성을 찾듯, 인공 생명체 또한 존재를 탐색하고 현재를 증명하고자 한다. 그의 작업은 기술 시대 이후의 존재론적 질문을 제기하고, 그 이면과 마주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을 경험하게 한다.
신종민은 디지털 정체성과 조각의 물리적 한계를 넘나들며, 게임적 요소를 차용해 현실과 융합하는 작업을 전개한다. 그는 스틸 프레임에 비단을 감싼 후, 얇은 시멘트를 입히는 방식을 통해 물성의 경계를 허물고 유동성을 부여한다. 3D 그래픽에서 사용되는 기법인 ‘로우폴리곤’을 차용한 이미지들은 물리적 배치나 결합 방식에 따라 유기적으로 변모하고 진화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이와 같은 작업 방식은 유지하면서도, 조각의 형태와 그 위에 입혀진 이미지가 서로 상반되거나 어울리지 않는 방식으로 결합되어, 예상치 못한 시각적 충돌을 만들어낸다. 개별 조각들은 때론 단일하게, 때론 복수로 증식하며, 관객을 의외의 서사 속으로 끌어들이고 마치 가상 세계의 오류 안에 진입한 듯한 낯선 감각을 유도한다.
‘Virtuality slash Physicality’는 동시대의 흐름을 각자의 방식으로 시각화하는 두 작가의 작업을 통해, 관객으로 하여금 현실로부터 탈각된 또 다른 세계―가상 혹은 미래의 풍경―를 마주하게 한다. 이들의 작품은 단순한 시각적 경험을 넘어 지속적인 의미의 전환을 일으키고, 익숙함 속에서 낯섦을 일깨우며, 현실과 미래, 가상을 가로지르는 새로운 시선을 제안한다.
Virtuality slash Physicality
Technology, while born to serve human convenience, inevitably infiltrates our inner worlds—triggering a paradoxical desire to escape the present. As machines increasingly replace human roles and virtual realms expand their grip on reality, artists Shin Gyomyung and Shin Jongmin each respond with distinct acts of choice and intervention, crafting narrative worlds that blur the boundaries between human and machine, material and immaterial. Moving beyond the conventional notion of “creation from nothing,” the two artists actively intervene at every stage—from medium selection to production—navigating the lineage of sculpture while engaging with emerging technologies. Their works evoke a sense of curiosity and disorientation, reflecting our shifting contemporary landscape. Through these layered experiences, they invite us to expand our perceptual horizon and imagine the contours of the yet-unreal.
Shin Gyomyung repositions technology as a visual and autonomous agent, not merely a tool. His AI robot 215 draws and thinks independently, functioning as a co-creative subject in a horizontal relationship with humans. Blurring the lines between species, Machina Sapiens—as he names it—mimics ancient petroglyphs and repeatedly draws the sun, leaving behind traces of its artificial memory. Like humans seeking identity through the past, this synthetic lifeform seeks to prove its own existence. His work poses ontological questions for the post-technological era, urging us to contemplate a paradigm shift in how we define life, agency, and authorship.
Shin Jongmin, on the other hand, explores the interplay between digital identity and physical sculpture. Drawing from game aesthetics, he fuses virtuality with real-world materiality. In his process, silk is wrapped around steel frames and coated with thin layers of cement, pushing the boundaries of material expression. He incorporates “low-polygon” graphics—a technique from 3D modeling—into sculptural compositions that mutate and evolve depending on how they are combined and situated. In this exhibition, he pushes this further: by deliberately juxtaposing sculptural forms with mismatched or conflicting digital images, he generates unexpected visual ruptures. His works grow singly or multiply, drawing viewers into unfamiliar narrative territories—as though they’ve stepped into a glitch in a virtual world.
‘Virtuality slash Physicality’ presents two distinct yet resonant approaches to visualizing contemporary flows. Through their works, the artists construct alternative realms detached from everyday reality—landscapes of the virtual and the futuristic. Their practices transcend mere visual presentation, triggering continuous reinterpretation and reframing of meaning. In doing so, they awaken the strange within the familiar, offering new ways of seeing that cut across reality, virtuality, and what lies ahead.
전시 : 2025.07.09 - 2025.08.02
장소 : The Untitled Void
시간 : 10:00am - 06:00pm
휴관 : 매주 일, 월